Dev

Ubuntu 서버 세팅, 이 순서대로 하면 끝 (Intro)

KingdomPillar 2025. 4. 1. 18:25
반응형

IDC, AWS, FreeDOS 다 겪고 만든 서버 세팅 가이드

이 매뉴얼을 만든 이유

새로운 서버 세팅은 늘 골치 아프다. 매일 루틴하게 하는 일이 아니다보니 기억이 가물가물하고 결국 또 구글링하게 된다.
그래도 요즘엔 AI의 도움으로 한결 수월해지기는 했다.

최근 우리 회사 대표님이 운영하는 별도 법인의 신규 홈페이지 제작 의뢰가 들어왔다.
문제는 클라이언트 측의 기존 홈페이지가 우리 회사의 IDC 서버에 띄워진 상태였고, 비용 이슈로 인해 클라이언트가 부담하는 서버를 신설해야하는 상황이었다.
이전에 나는 프리도스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해 세팅해본 적도 있고, AWS EC2를 생성해 세팅해본 적도 있는데 시간이 흐르니 또 하나하나 찾아서 내 개발환경에 맞게 세팅하는게 너무 귀찮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Ubuntu 초기 세팅 가이드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훗날 우분투 초기 세팅을 해야할 일이 생겼을 때, 이 포스팅만 보고 그대로 따라하면 될 것이다..!


🔧 운영체제 및 시스템

  • 운영체제: Ubuntu 22.04 LTS
  •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 Glances
  • 셸 환경 커스터마이징: Oh My Zsh
  • 자동 환경 변수 로드: autoenv

🐍 Python 개발 환경

  • Python 버전: 3.12.6
  • Python 버전 관리 도구: pyenv
  • 패키지 및 가상환경 관리 도구: Poetry
  • 웹 프레임워크: Django 4.2.20 (LTS)

🌐 배포 환경

  • Web Server: Nginx
  • Application Server: uWSGI
  • Database: PostgreSQL

💻 형상 관리 및 협업

  • 형상 관리 도구: Git
  • 원격 저장소: GitHub

반응형